저기/인물

유토피아를 향하지만 디스토피아가 기다린다.

von3000 2018. 12. 5. 20:50
반응형

'디스토피아‘(Dystopia)는 ’유토피아‘(Utopia)의 반대말이다.

가상의 이상향, 현실에는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세상을 묘사하는 유토피아와는 반대로,

가장 부정적인 암흑세계를 일컫는다.

주로 픽션처럼 문학작품이나 일부의 사상에서 거론되어진다.

디스토피아는 현대 문명의 어두운 그림자를 보여주며 우리가 무의식중에 받아들이는 것들, 행하는 것들의 위험을 알려준다.

미래세계에 대한 논의는 두 방향에서 출발하여야 하지 않을까?

 

,

 

 

지금의 세상의 흐름은 쏜살같이 흘러간다.

조금만 눈을 돌려도 이미 많은 부분을 놓쳐버리는 상황이 되어 버린다.

말 그대로 활시위를 떠난 쏜 화살의 속도이다.

 

이 흐름에 계속 맞장구 치다보면 내가 누구인지 헷갈리게 되어간다.

이미 늦은 것이다.

어느 영화의 대사처럼

10명의 사람 중에 9명이 찬성하여도 마지막 1명은 무조건 반대한다.

1명의 반대자의 입장에서 가설을 세워 다시 되돌아보는 것이 절실하게 필요해진다.

 

리가르도 IMF총재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총재 AFP=뉴스1

 

 

어제 미국을 방문한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미국 의회도서관 연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표방하는 보호무역주의와 국가주의(미국우선주의)를 비판했다.
불평등이 유발하는 디스토피아를 피하려면 국가 간 서로 협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라가르드 총재는 세계 경제에서 미국의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맡아 왔음을 인정하며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국제 협력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의 경제를 좌지우지하던 미국의 감기가 빈곤한 작은 나라들에게는

죽음에 이를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한 예시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미국은 세계의 경찰, 세계의 리더로서 모습을 보여줬다.

그러나 이것 또한 미국의 이익이 없었다면 행하지 못할 일이기도 하다.

분명 엄청난 그 무엇인가가 있기 때문에 그 역할을 아직 놓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비근한 예로 한국의 일부 원유수입을 이란에서 하고 있는데 이란 경제제재에 부딪히자,

미국에게 제외할 것을 부탁하며 허락을 맡는다.

대통령을 꿈꾸는 자는 미국의 눈도장부터 받으려 했던 위정자들이 너무 많지 않았는가!

 

여기에 반기를 든다면 그것은 죽음이 다가오는 것이다.

리비아의 카다피가 그랬으며, 칠레의 아옌데 등

수많은 반미주의자들이 미국이 지원하는 반군에 의해 죽음을 맞이하였다.

이것이 미국이다.


리가르드 총재는
"미국이 국제경제 질서에서 리더 역할을 맡았는데, 이는 더 강하고 안정적인 세계를 구축하는 게 미국에 큰 이익이 됐기 때문이다.“ 이는 미국이 과거 추구했던 다자주의의 성과를 강조한 것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추구하는 미국 우선주의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발언이다.

이런 성공은 사실 다른 나라들의 희생으로 탄생되어졌다.

,

 


불평등이 고조되고 있다.

 

아니 상당 부분은 선을 넘은 지 오래다.

이에 불씨만 던져져 들끓어 오르면 '분노의 시대'(age of anger)가 올 수 있다. 리가르드는 "디스토피아를 피하려면 국가들은 정부 간 협력을 개선하고, 감독을 강화하고, 부패를 줄이고, 세금 징수 제도를 개혁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인프라와 교육을 개선하는 데 쓰일 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라고 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 경제는

현재 등장하고 있는 불화와 갈등을 가만히 지켜보고만 있을지,

아니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무장하여 전진할 것인지

근본적인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지구가 걸어가는 길!

반대편에선 지금 분노가 기다리고 있을지 모른다.

유토피아(Utopia)를 향하지만.....

디스토피아(Dystopia)가 기다리고 있을지 모른다.

 

 

반응형